반응형
(청소년지도사 자격연수 사전과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청소년 정신건강 회복 및 대인관계 증진에 대하여 |
청소년지도사 2급 과제.hwp |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분량 : 7 페이지 /hwp 파일 |
설명 : 성심성의껏 작성한 글이며, 다양한 참고자료를 사용하여 글을 풀어나갔습니다. 성적은 A+ 이 나왔습니다. 그 이후에도 여러 번 자료를 검토하여 더욱 완성도가 높은 자료로 만들어 냈습니다. 구매하시면 후회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1.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변화 또는 관련이슈에 대해 조사하고 기술하시오. 가. 청소년을 덮친 코로나 우울증 1)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 2)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정신상담 현황 나. 조사된 내용에 대한 내 생각 및 기여할 수 있는 부분 1) 코로나 우울증을 선택한 이유 2) 대응방안 3) 내가 지도자로서 기여할 수 있는 부분(계획 포함) 2. 조사한 내용에 대하여 2급 청소년지도사로서 사회이슈 및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소년사업을 기획하시오. 1) 추진배경 및 필요성 2) 프로그램 목적 3) 프로그램 목표 4) 프로그램 개요 5) 프로그램 일정표(세부계획서) 6) 환류계획과 예상되는 점 2022년 기준 청소년들은 코로나에 대해 불안·걱정이 약 55.6%, 두려움이 34.1%, 우울함이 41.0%, 짜증이 27.5%, 화·분노가 12.2%, 공포 6.0%, 충격 6.0%, 감사 3.3%, 평온 5.4%, 관심 3.0%, 침착함 3.7%, 따뜻함 0.8%로 조사되었다. 부정적인 감정들은 주를 이루고 있는 데 반해, 긍정적인 감정들은 워낙 소수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겠다. 청소년들의 주된 코로나 스트레스는 ‘사회적 고립감’, ‘생활관리의 어려움’, ‘감염에 대한 두려움’, ‘타인에 대한 분노’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의하면 가장 큰 문제가 대인관계와 관련된 문제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자발적인 고립을 하는 청소년이 상당했고 관계형성 혹은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느끼거나 온라인 관계에 몰입하는 경우도 잦았다. 종합해서 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이전보다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건수는 10% 증가했으며, 2021~2022년 조사보다 부정적인 감정은 증가하고 긍정적인 감정은 감소하였다. 대인관계 결핍으로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하고 비대면으로 인한 휴대폰 혹은 컴퓨터 사용 증가 등으로 생활관리가 어려워졌다. 자발적 고립은 더욱 심해졌으며, 온라인 사용 시간의 증가로 온라인 관계의 몰입도가 증가하였다. 또래관계를 맺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증가하였다. |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 |
반응형
'학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의 유형에 대해 조사한 후 이상적인 리더십 사례에 대해 제시해보세요 (0) | 2023.07.03 |
---|---|
8월 보육일지 만5세 8월 1주-5주 주간 간소화보육일지 (0) | 2023.07.02 |
선량한 차별주의자 서평 - 선량한 차별주의자 책 개요 및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고 변화된 나의생각 정리와 독후감 (0) | 2023.06.30 |
영아전담 어린이집 만1세 6개영역 관찰일지와 발달평가 23명 (0) | 2023.06.29 |
인간실격 독후감 (0) | 2023.06.28 |